
LLM은 대규모 언어 모델입니다. 구글 제미니, MS 코파일럿 등의 제품들이 있습니다. LLM이 잘못된 정보를 제공하기도 하지만 적절히 사용하면 생산성 향상이 큰 도움이 되는 것 같습니다.
git log 생성
git log 를 어떻게 작성할까. 꽤 고민되죠. 시간 소비도 되고요.
LLM에 다음처럼 질의를 합니다.
다음 파일들을 테스트 목적으로 추가하였다. 이에 대한 git log 를 80컬럼에 맞게 영어로 작성하시오.
modules/inputs/qt5/Makefile.editor
modules/inputs/qt5/editor
modules/inputs/qt5/editor.cpp
LLM이 아래와 같은 답변을 출력하였습니다.
Here’s an example of a
git log
message formatted to fit within an 80-column width, based on your description:Added test files for the Qt5 input module. The following files were added for testing purposes in the Qt5 input module: - modules/inputs/qt5/Makefile.editor - modules/inputs/qt5/editor - modules/inputs/qt5/editor.cpp These additions are intended for internal testing and development validation.
This format ensures clarity and adheres to the 80-column limit. Let me know if you’d like further refinements!
위 답변을 적절히 수정하면 될 것입니다.
블로그 제목에 대한 URL 주소 작성
블로그 제목이 “LLM의 활용”인데 URL 주소를 뭐라고 할까, 참 고민됩니다.
LLM에 다음처럼 질의를 하였습니다.
LLM의 활용. 영어로 간략히 번역하시오. 블로그 주소에 사용될 것입니다.
LLM의 답변:
“Utilizing LLMs”
Let me know if you’d like further refinements for your blog address!
이렇게 LLM을 활용하는 방법들이 있습니다. 주로 검증할 필요성이 적은 분야에 적합한 것 같습니다.